Notice
- Today
- Total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infra
- 젠킨스
- Project
- Kotlin
- chrome80
- 프로젝트
- JPA
- 팀네이버 공채
- JWT
- 팀네이버
- jenkins
- spring
- redis
- 브랜치전략
- SPRING JWT
- SpringBoot
- websocket
- 스프링
- LazyInitialization
- EntityTransaction
- 캐싱전략
- docker
-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
- Spring Security
- 후기
- 책
- container
- Java
- network
- 리뷰
Archives
목록equals (1)
PPAK

도메인을 설계하다보면 Value Object 를 자주 접하게 된다. 값 객체? 값 타입?? 알쏭달쏭한 VO 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선 VO 는 아래의 두 가지 아이디어에 기반한다고 생각한다. 1. 연관있는 데이터의 집합이 분명 존재한다. 2. 그 데이터의 집합은 그 자체로만 식별이 가능하고, 어느 한 속성값이 수정된다면 더 이상 이전과 같은 데이터라고 할 수 없다. 아래는 직접 작성한 VO 이다 class Reference { int age; String course; String job; public Reference(int age, String course, String job) { this.age = age; this.course = course; this.job = job; } @Override ..
jvm/java
2022. 6. 26. 16:5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