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- Today
- Total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젠킨스
- container
- EntityTransaction
- 캐싱전략
- SpringBoot
- 리뷰
- spring
-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
- 팀네이버
- docker
- Spring Security
- redis
- infra
- websocket
- 프로젝트
- chrome80
- Java
- jenkins
- SPRING JWT
- LazyInitialization
- 후기
- JPA
- Project
- 팀네이버 공채
- Kotlin
- 스프링
- 브랜치전략
- JWT
- network
- 책
Archives
목록nginx (1)
PPAK

기존에 진행하던 이웃사이 프로젝트에서 Jenkins 를 통한 CI/CD 를 구축했었다. 그 덕분에 개발 간에 팀원들은 단순히 깃허브에 코드를 올리는 것 만으로도 서로 작업한 내용을 원격서버에 반영되었고, 직접 배포를 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전체적인 개발 피로를 줄일 수 있었다. 관련포스팅 [CI/CD] Git Webhook 을 통한 Jenkins-Spring Boot 빌드, 배포 자동화 이전 포스트 에서는 Docker 위에서 Jenkins 개발환경을 셋팅하였다. 본 포스트에서는 실제로 Jenkins project 를 생성하여 빌드 스크립트를 구축하고 Git Webhook 을 이용해 개발자가 빌드 버튼을 매번 누르 ppaksang.tistory.com 문제점 기존의 CI/CD 인프라를 살펴보면, 분명 J..
infra
2023. 1. 4. 15:59